본문 바로가기
landscape architecture/조경기사

[조경기사] 조경사 - 일본 조경사 요약

by greenyourfav 2024. 2. 12.


일본 조경사 | Notion

I. 일본 정원 양식의 변천

greenyourfav.notion.site


노션에서 확인하시면 더 간편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!
기출 + 성운 필기 교재 참고해서 정리했습니다 :)
책마다 내용은 다를 수 있으니 그 점 참고해서 필요하신 내용만 찾으시길 바랄게요!
(틀린 부분 있으면 편하게 댓글 남겨주세요…~)

ctrl + F 누르시면 페이지 검색할 수 있어요


I. 일본 정원 양식의 변천

(1) 임천식 정원

: 신선설에 기초를 둔 연못과 섬을 만든 정원
→ 야마토, 비조 (아스카), 내량 (나라), 평안 (헤이안) 전기

(2) 회유임천식 정원

: 초기 침전조 정원, 후기 회유 임천식 정원

: 침전건물을 중심으로 한 연못과 섬을 거닐며 정원을 즐기는 양식
→ 평안 (헤이안) 전기, 겸창 (가마쿠라)

(3) 축산고산수식 정원

: 물 X, 상록활엽수 사용, 경관의 사실적 묘사, 선사상과 묵화의 영향을 받아 건물로부터 독립한 회화적 정원
→ 실정 (무로마치) 시대

(4) 평정고산수식 정원

: 식물 X, 왕모래 + 바위로 바다의 경치 표현, 극도의 상징화ㅡ 추상화, 축석기교 최고도 발달
→ 실정 (무로마치) 시대

(5) 다정양식 정원

: 다실, 다도, 윤곽선 처리, 좁은 공간을 효율적 사용
→ 도산 (모모야마) 시대

(6) 지천임천식 정원 (= 회유식 정원)

: 임천양식 + 다정양식 혼합의 형태로 소굴원주 기법 발달
→ 강호 (에도) 시대

(7) 축경식 정원

: 오늘날 일본 조경 양식으로 원근, 색채, 명암, 조화를 중시.
: 자연경관을 축소하여 좁은 공간 내에서 표현
→ 명치 (메이지) 시대, 현대

---

II. 시대별 조경 특징

비조 (아스카) → 나라 (내량) → 평안 (헤이안) → 겸창 (가마쿠라) → 실정 (무로마찌) → 도산 (모모야마) → 강호 (에도)

[1] 비조 (아스카) 시대

- 불교사상 - 수미산으로 반영 (일본의 우주관 + 중국의 불교관)
- 봉래사상 - 봉래산, 학도, 구도
- 중국 영향으로 곡수연 시행
- 노자공의 오교와 수미산 <일본서기> 에 기록

[2] 나라 (내량) 시대

- 귤도궁
→ <만연집>에 기록
- 평성궁
→ S모양 대치전 - 자연풍경 상징적 <마포산수도>에 기록

[3] 평안 (헤이안) 시대

(1) 평안 시대 전기

- 신선사상, 봉래사상, 불교사상
- 신선사상
→ 신천원
→ 차아원: 중국 모방
→ 조우전 후원
- 해안풍경 정원
→ 하원원: 귀족 대표 정원, 연못 속에 여러개 섬 → 소나무 식재
→ 육조원 (현존X), 량전, 서궁 등

(2) 평안 시대 후기

- 정토사상
→ 시대 불안정, 극락정토 기원, 불교의 영향
- 침전조 정원양식
→ 중국 당 시대 건축양식 모방
→ 침전 남향, 건물 회랑 연결
→ 유수 - 좁다 넓어지는 물도랑, 음향오행 사상 반영
→ 왕족 중심 사교정원
- 초기 침전조 양식 - 일승원 정원
- 후기 침전조 양식 - 동삼조전 정원
→ 침전조 정원의 원형
→ 크고 작은 세 개의 섬이 자리잡은 연못
→ 연못가 - 섬은 홍교, 평교로 연결
- 정토정원
→ 기존 참전조 정원의 불교식 변형
- 정토정원 초기 - 평등원 정원
- 정토정원 후기 - 모월사 (원륭사) 정원
→ 대천지, 못으로 유명
- 귤준망의 <작정기>
→ 일본 최초의 조원 지침서
→ 침전조 정원 형태, 의장 기록
→ 이론부터 시공까지 상세하게 기록

[4] 겸창 (가마쿠라) 시대

- 전기 - 정토정원, 침전조 정원
- 후기 - 선종정원, 지천회유식 정원
- 정토정원
→ 정유리사, 칭명사, 영구사, 중존사, 영보사 지원
- 선종정원
→ 현실적, 서민적, 일직선 배치
→ 서천사경원 - 몽창국사, 십팔곡조, 편계일람정
→ 서방사경원 - 몽창국사, 고산수 지천회유식, 야박석, 황금지
- 몽창국사 (몽창소석)
→ 선종정원의 창시자로 선원의 이상실현 추구
→ <벽암록> 내 선의 의미 표현

[5] 실정 (무로마찌) 시대

- 석조 중심 정원 발달 - 고산수식(선사상의 영향), 정토사상, 신선사상
- 정원감상 수평적 → 입체적
- 정토정원
→ 천룡사
→ 금각사 (녹원사) 정원 - 구산팔해석 (야박석)
→ 은각사 (자조사) 정원 - 은사탄, 향월대, 금경지
- 고산수식 정원
→ 물, 나무 X , 돌과 모래로만 구성 → 산수를 추상/상징적으로
→ <작정기> - 못, 유수 X 돌세우기
→ 대덕사 대선원선원 - 원근법의 원리로 대풍경 묘사
→ 대덕사 용원원
→ 용안사 석정 - 극도의 인공, 바다의 경치 표현 7*5*3 석조 방식

> 축산 고산수식 - 수목 소량 사용
> 평정고산수식 - 식물 사용 X

[6] 모모야마 (도산) 시대

- 호화로운 조석과 명목으로 사람을 위압
- 신선정원
→ 삼보원 정원 - 도산 대표정원, 디자인 과잉 평, ’등호석‘
→ 이조성 - 소굴원주로 개조
- 다정원
→ 싸리나무, 대나무로 울타리 쳐 소공간 구성, 자연 창조
→ 소박, 다도와 함께 발전, 자연의 한 면 강조해 표현
→ 불교 선종의 영향으로 도닦는 목적
→ 석등/석탑 - 고찰의 분위기 조성
- 다정 구성 요소
→ 상록수, 디딤돌, 자갈길, 물통 (스꾸바이), 석등, 다실, 세수발
- 대표정원 및 인물
→ 천리휴 - 초암풍 다실, 자연스러운 분위기 - 불심암, 대암
→ 소굴정일 - 다도의 시조, 아름다운 외관 - 고봉암 정원

[7] 강호 (에도) 시대

- 지천회유식 - 다정양식 + 임천식 / 석등, 세수분

(1) 에도시대 초기 정원

- 계리궁원
→ 황실 별장, 회유식, 주유식 4계절 다정 배치
- 수학원 이궁
→ 상/중/하에 각각 다실 배치, 자연풍경식 정원의 극치, 조경의 이상 제시
- 선동어소 정원
→ 소굴원주 조영, 수가옥, 절석
- 남선사 금지원
→ 소굴원주 조영, ’학구의 정원‘으로 유명
→ 학도 - 동적인 느낌의 조석, 소나무 식재
→ 구도 - 정적인 느낌, 거북이 헤엄치는 모습 조석, 눈향나무 식재
- 대덕사
→ 소굴원주 조영
→ 남정 독좌정
→ 방장동정 - 7*5*3의 석조

(2) 에도시대 중기 정원

- 소석천후락원
→ 임천회유식 + 경도풍 (교토) + 자연풍 + 중국풍
→ 후원 회유식 지천원, 4대 경역
- 강산 후락원
→ 일본의 3대 공원 중 가장 오래됨
→ 차경수법, 대치 중앙 3개 섬, 오른편 유심산 인공축산
- 육의원
→ 경승지 88개소 재현, 한시의 사상에서 유래
- 율림공원
→ 대회유식 정원, 지방대명원으로 유명
- 겸륙원
→ 임천회유식 정원
→ 명칭 이격비 <낙원명원기> 유래
→ 회유식 정원*곡수 조성
→ 에도시대 말기의 정취

(3) 에도시대 후기 정원

- 자연축경식 정원 형성

(4) 정원서의 보급

- <제국다정명적도회> - 에도 최초 정원서
- <축산정조전>
→ 북촌원금제 지음, 상세한 그림, 설명 등으로 에도 중기 유행
- 이도헌추리의 <석조원생팔중원전>
→ 각종 시설물 그림으로 설명
→ 석조법, 오행석조법 - 영상석, 체동석, 심체석, 지형석, 기각석
- 이도헌추리의 <축산정조전후편>
→ 축산, 평정, 노지정의 세 형식으로 분류
→ 진, 행, 초의 3가지 수법 제창

[8] 메이지 (명치) 시대

- 서양문화 유입
- 무린암 정원
→ 동산배경, 3단 폭포
→ 야마가타 아리모토, 오가와 오사무가 시공
→ 사실주의적 묘사
- 서양식 정원
→ 신숙어원 - 앙리 마르티네 설계, 3부분 (프랑스 - 영국 - 일본)
→ 적판이궁 - 프랑스 베르사유 궁원 형식
→ 알비곡 공원 - 일본 최초 서양식 공원

III. 기타 암기

- 일본의 3대 공원
: 강산 후락원, 금택 겸육원, 수호 해락원
- 에도시대 조성 3대 공원
: 강산 후락원, 금택 겸륙원, 율림공원

여기까지입니다!
모두들 파이팅하세요 ^ㅂ^~