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landscape architecture/조경기사

[조경기사] 조경사 - 한국 조경사 요약

by greenyourfav 2024. 2. 15.

끝까지 긍정적 마인드로 파이팅!

https://greenyourfav.notion.site/9f603fe28ee041ce97d63826acaf9961?pvs=4

 

한국 조경사 | Notion

I. 사상적 배경

greenyourfav.notion.site

 

노션에서 확인하시면 더 간편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!
기출 + 성운 필기 교재 참고해서 정리했습니다 :)
책마다 내용은 다를 수 있으니 그 점 참고해서 필요하신 내용만 찾으시길 바랄게요!
(틀린 부분 있으면 편하게 댓글 남겨주세요…~)

ctrl + F 누르시면 페이지 검색할 수 있어요

 

 

I. 사상적 배경

  • 신선사상 - 삼신산 (봉래, 방장, 영주) 십장생, 석가산
  • 음양오행설 - 방지원도
  • 풍수지리설 - 배산임수, 연못, 화계에 영향
  • 유교사상 - 정신과 형식의 조화, 궁궐 및 민가의 공간배치 또는 공간 분할에 영향
  • 불교사상 - 극락정토, 호화스럽고 사치스러운 양식, 삼존석
  • 은일사상 - 중도식, 다산초당, 별서정원 등으로 발현

II. 시대별 한국 조경

[1] 선사 및 고조선 시대

  • 노을왕이 즉위하면서 유를 만들어 짐승 기름
  • 청류각
  • 거석문화
  • 선돌이 전국적 분포
  • 선돌은 종교적 의미를 가진 원신 기념물
  • 고인돌 양식에는 북방식 / 남방식
  • 고인돌은 고조선 시대 때 발달한 분묘

[2] 삼국시대

(1) 고구려

  • 통구 - 국내성
  • 평양 - 안학궁지, 대성산성 등
  • 안학궁지
  • 장안성, 외성, 내성, 북성, 중성
  • 정전중국정침, 남죽 일직선상
  • 정원터 - 서문과 외전 사이, 북문과 침전 사이에 위치
  • 못, 경석(괴석), 정자, 인공축산 등 배치

(2) 백제

  • 임류각 - <동사강목>, <삼국사기>
  • 궁남지 - 무왕 35년
  • 삼국사기, 동사강목
  • 우리나라 최초 신선사상 상징화, 방장선도 조성
  • 능수버들 식재
  • 정림사터 - 탐금당 중심형 (= 1탑 1금당)
  • 미륵사터 - 3탑 3금당형
  • 노자공 <일본서기> - 수미산, 오교 전파
  • 백제시대 궁원 조성시기 순서 한산성궁원 → 임류각 → 궁남지 → 망해정

(4) 신라*통일신라 시대

  • 격자형의 도시구획 패턴
  • 안압지, 포석정, 불국사
  • 포석정 - <삼국사기>, <삼국유사>, <동국여지승람> → 왕희지의 <난정기> 유상곡수연에서 유래된 곡수거, 곡수연 → 현재 건물은 사라지고 곡수거만 존재 → 수로폭의 변화와 경사로의 변화에 따라 술잔이 불규칙적으로 흐르도록 설계
  • 안압지 - <삼국사기>, <동사강목> → 직선과 곡선의 혼용 → 넓은 바다를 연상할 수 있도록 조성, 수위 조정 → 남안과 서안 - 직선적 배축 → 건축물은 정형적 구조, 대칭적 수법이나 연못은 심한 굴곡을 가진 연못 → 당나라 장안성 금원 모방
  • 사찰
  • 순천 송광사: “화엄일승법계도”에 근거, 동심원적 공간 구성체계로 조영
  • 불국사: 33계단 (33천을 뛰어넘어 부처의 세계로) 조성, 청운교, 백운교
  • 화엄사: 회랑 X, 입체적으로 형성된 공간 구성, 대웅전을 중심으로 좌우대칭 X

[3] 고려시대

  • 격구장 축조
  • 곡연을 위한 대사누각
  • 송나라의 정원 모방 → 호화롭고 이국적인 화원 조성
  • 화오
  • 오늘날 화단과 같은 역할
  • 재료에 따라 매오, 도오, 죽오 등으로 불림
  • 화초류, 화목류 군식
  • 만월대 궁원: 고려 초 왕건이 정궁으로 조영
  • 김홍도의 <기로세련계도>의 소재
  • 사루 (모란으로 유명), 상춘정에서 곡연
  • 동지: 정전인 회경전 동쪽에 위치, 연못 주변과 언덕에 누각 형성, 학, 거위, 산양 등을 길렀던 유원 조성
  • 내원서: 정원을 관리하던 행정부서
  • 장원정, 청평사 문수원 정원, 상춘원

민간정원

  • 기홍수의 곡수지
  • 퇴식재, 영천동, 척서정, 독락원, 연묵당, 연의지, 녹균헌, 대호석
  • 탁광무의 경렴정 - 전남 광주
  • 뜰에 채소원 조성, 연못 안에 섬
  • 이자현의 문수원 정원
  • 은둔생활을 위해 조성, 사다리꼴 형태의 영지가 경외에 위치
  • 자연동화적 수행 공간으로 조성
  • 최치원의 농산정 - 경남 합천
  • 전면 2칸, 측면 2칸의 팔각지붕 건물

고문헌

  • 동국이상국집, 목은집, 운곡지사, 사륜정기 등
  • 이규보의 사륜정기
  • 사륜정에 관한 기록, 필요에 따라 정자 옮길 수 있게 구상
  • 이규보의 이소원기
  • 40종의 조경식물

왕별 업적

  • 태조
  • 개성 만월대 정궁 목적으로 조영
  • 경종
  • 고려시대 궁궐 정원에 대한 내용 최초 기록
  • 의종
  • 인공폭포 조성, 석가산 조성, 특이한 정자 건립
  • 격구를 즐겨 북원에 격구장 설치
  • 태평정: 민가 50여구 헐어 터 다듬고… 못됐다…
  • 예종
  • 혜음원지: 객관정원으로, 행궁유구, 연못과 조경시설 발전
  • 화원: 송나라 상인으로부터 화훼 구입, 담장으로 둘러쌓인 공간, 궁의 남, 서쪽 2군데 설치

[4] 조선시대

  • 주례고공기 → 중국의 공예기술 → 궁궐전축 형식 및 구성원리 - ‘삼조삼문’
    • 삼조: 외조 → 치조 → 연조
    • 삼문: 고문, 응문, 노문 → 왕도의 배치 ‘좌조우사면조후시’
    • 좌조우사: 좌 - 조상 묘 (종묘) 우 - 사직단
    • 면조후시: 정면 - 관청, 후 - 시장

궁궐정원

  • **경복궁
  • 경회루 원지** → 24개의 바깥기둥 (사각), 24개의 안기둥 (원형) → 방지방도 - 방지 3방도 → 출구는 방지 서남쪽에 위치 → 정면 7칸, 측면 5칸 팔각지붕 (2층구조) → 경회루 중심 좌우대칭 배치의 3개 석교 → 외국사신의 영접, 왕이 조정의 군신에게 베풀었던 연회장소로 사용 → 과거시험 및 무신의 궁술 구경 용도 → 조선왕궁의 원지 중 가장 큰 규모

- 교태전 후원 - 아미산 → 경복궁 궁궐 건물 가운데 가장 화려하게 치장 (왕비의 침전으로 지었음) → 임금과 왕비만 즐길 수 있는 화계로 만듦 - 인위적으로 성토하여 조성 → 4개의 육각형 굴뚝: 십장생이나 서수 조각 - 불로장생의 노장 사상 → 기타 경관요서: 석지, 수조, 계단식 후원

  • 향원정과 향원지 → 방지원도, 취향교 → 명칭 주돈이의 ‘애련설’ - 중향원익정
  • 자경전 → 대비의 일상생활, 침전 → 십장생 굴뚝, 꽃담
  • 녹산 → 경복궁 북쪽에 나지막한 언덕으로, 사슴이 노닐던 정원
  • 창덕궁
  • 매우 자유로운 배치 특성
  • 자연미와 인공미 혼연일치

- 부용정역 → 부용지 - 방지방도. 중앙에 봉래선산 상징하는 둥근 섬 배치 → 주합루 - 부용정 맞은편 어수문, 5단의 화계, 그 위에 2층 주합루 배치 → 부용정, 부용지, 주합루, 영화당, 사정기비각

  • 애련정역: 방지, 섬 X, 농수정 축조, 연경당 (민가모방 99칸) → 불로문, 애련정, 애련지, 연경당, 농수정, 풍수도감설
  • 관람정역: 반도지 - 존덕정, 관람정
  • 옥류천역: 곡수거 형태 남아있는 곳으로 태극정, 농산정 (= 용산정), 취한정 배치 → 용산정: 정면 5칸, 측면 1칸 맞배지붕, 방, 마루, 부엌이 존재하는 창덕궁 후원의 정자
  • 청심정역
  • 대조전 후원: 경사지 계단형, 장대석을 얹어 화계 축조
  • 낙선재 후원: 괴석문에 삼신산을 상징하는 소영주라 새긴 석분대
  • **창경궁
  • 통명전** → 중교형 방지 형태 (석란지) - 정토사상 → 경사면을 장대석으로 쌓아 만든 화계
  • 덕수궁
  • 석조전 → 우리나라 최초 프랑스식 서양 건물 (프랑스의 정형식) → 분수와 연못 중심
  • 정관헌 → 고종의 연회장소, 외부는 한국식, 내부는 서양식

왕별 업적

  • 태종 - 경회루, 후자
  • 세조 - 창덕궁 후원
  • 연산군 - 만세산
  • 인조 - 소요정, 태극정, 청의정 (옥류청 주위)
  • 세종 - 옥사 (교도소) 주변 녹음수 식재

주택정원

  • 유가사상으로 인한 주택의 공간분할
  • 배산임수에 따라 뒤뜰에 화계 조성, 앞마당에는 지당 조성 ⇒ 풍수지리설에 따른 양택의 위치결정으로 인해 후원식 발달
  • 바깥마당 - 연못, 음양오행의 사상적 기능 수행
  • 안마당 - 가장 폐쇄적, 여자 공간
  • 사랑마당 - 남자 전용생활공간, 유교사상, 조경수식 가장 화려
  • 행랑마당 - 별다른 조경 X, 큰 나무 몇 그루만 식재
  • 뒷마당 - 경사지와 연결되어 있으면 화계나 담장 설치
  • 별당마당
  • 식재 → 실용적 공간: 채소밭, 제수용 과일, 약포 → 위락적 공간: 매, 송, 국, 죽, 연, 난, 모란, 동백, 소나무 등 → 문 앞: 회화나무, 대추나무, 버드나무 → 중정: 화초류 → 울타리 옆: 국화 - 도연명의 안빈낙도에 대한 동경과 흠모 → 집 주위: 소나무, 대나무 → 전정: 석류나무 → 태평성대 희구의 상징적 표현 ⇒ 대나무, 오동나무
  • 주요 주택정원 → 운조루 - 전남 구례: 방지원도, <오미동가도>에 기록, 품자형 상류주택 → 선교장 - 강원 강릉: 방지방도, 활래정 → 윤증고택 - 충남 논산: 사랑채에 축대 조성, 방지원도 → 청암정 - 경북 봉화 → 박황 가옥 - 경북 달성: 방지원도, 사군자화

별서정원

  • 사화와 당쟁의 심화로 도피적 은둔과 초현세적 은일사상 농후
  •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자연환경
  • 신라의 사절유택이 별서정원의 기원이 됨
  • 별장 - 기본적인 살림의 규모를 갖춤
  • 별업 - 효도, 선영의 관리 목적 (제 2의 주거)
  • **주요 별서정원

-** 정영방의 서식지원 - 경북 영양 → 지담은 중도가 없는 방지 → 사우단: 대나무, 소나무, 매화 식재

  • 권문해의 초간정 - 경북 예천 → 저울가의 암반 위에 걸쳐 건립된 다락 건물 → 정면 3칸, 측면 2칸
  • 오이정의 명옥헌 - 전남 담양 → 옛 그림 X, 팔각지붕 축조, 사다리꼴의 연못

- 양산보의 소쇄원 - 전남 담양 → 원규투류의 수경 기법 → 계류중심의 위락공간, 직선적인 단상 처리, 석가산 수법 → 평천산장의 영향 → 주요 조경 식물은 송, 죽, 매, 국 → 광풍각: 소쇄원이 한 눈에 들어오며 계류를 가까이 즐길 수 있는 정자 → 애양각: 부모에 대한 효를 의미, 가장 볕이 잘 드는 마당 → 대봉대: 도선사상적 표현으로 도원경 표현, 태평성대를 희구 → 매대: 매화를 심은 2개의 화계 → 나무 홈을 통해 물공급한 상하 두 개의 방지가 물레방아를 중심으로 배치 → <소쇄원48제영>, <소쇄원사실>, <소쇄원도> → 외나무다리 설치

- 유선도의 부용동 정원 - 전남 완도 → 낙서재: 무민당, 귀암, 동와, 서와, 낭음계 → 동천석실: 가장 빼어난 경관, 약간의 인공 - 휴식과 독서를 위한 공간 → 세연정: 동대와 서대 축조 → 방지방도

  • 송시열의 남간정사 - 대전 동구 → 곡지원도
  • 김조순의 옥호정 - 서울 삼천동 → 현재 옥호정도의 그림으로만 존재

- 정약용의 다산초당 - 전남 강진 → 신선사상을 배경으로 한 전통적인 중도형 방지 → 방지 안 원도에 석가산 축조 → 연못 조성에서 삼봉: 봉래, 방장, 영주의 신선사상에 의한 삼신산

  • 축조 연대 소쇄원 → 서석지 → 부용동 정원 → 다산 초당 → 소한정 서석지 → 남간정사 → 다산 초당 → 부암정 광한루 → 세연정 → 부용정 → 활래정

서원조경

  • 학문연구와 선현제향을 위해 조성된 사설교육기관이자 향촌자치기구
  • 수심양성 도모를 위한 방지 형태의 연못
  • 기능성에 의한 점경물 도입 - 정료대 (=가로등), 관세대 (=세면대), 생단 (=제향) 등
  • 식재되는 식물 매우 한정적 (느티, 은행, 향, 회화나무 등)
  • 주로 전면에 계류를 끼고 구릉지에 위치
  • 공간구성

진입공간 외삼문과 누각을 통한 과정적 공간

강학공간 강학을 위한 시설 외 수식 제한
제향공간 사당이 있는 공간, 강학공간 뒤 구릉지에 배치 위계성 강하게 나타남, 수식 거의 X
부속공간 창고나 관리운영을 위한 공간
  • 주요서원
  • 도산서원 - 경북 안동 → 퇴계 이황 → 연을 식재한 ‘정우당’과 ‘몽천’ → 주돈이의 애련설 영향 → ‘절우사’: 매, 송, 국, 죽 식재 → 천광 운영대, 천연대 → 탁영담: 반타석 위치
  • 병산서원 - 경북 안동 → 광영지: 원도원지
  • 도동서원: 서원철폐령 때 훼철 X
  • 무상서원: 최초의 가사문학 <상춘곡> 저술됨

고문헌

  • 강희안의 <양화소록> → 괴석배치, 화분관리법, 특성 등 설명 → 이끼가 잘 자라는 괴석인 산경석을 최상으로 언급
  • 서유구의 <임원경제지> - 임원 십육지
  • 이중환의 <택리지>: 수구, 집터, 산수

누와 정

누 정

조영자 고을의 수령 다양한 계층
조영시기 17C 이전 17C 이후
이용형태 공적 목적 사적 목적
건물 구조 3층 이상 2층 이하
건축적 특성 장방형, 방 X, 단청 다양한 형태, 방 O, 단청 X
  • 누의 경관기법 : 허, 원경, 취경과 다경, 읍경, 환경, 팔경
  • 광한루원 → 황희의 광통루가 광한루원의 전신 → 정인지가 광한루라 명명 → 오작교를 축조 → 광한루 앞 연못에 세 개의 섬 조성 - 방장, 영주, 봉래

III. 한국정원 특성

  • 산수경관, 실경화, 조화미
  • 중국의 영향, 후원 발달, 직선적인 공간 처리
  • 구조물 - 석가산, 괴석, 석분, 석지 (석연지), 석탑, 석상, 석등, 석축, 화계, 화오
  • 석가산 조영기록
  • 강희맹 <가산찬>, 서거정 <가산기>, 김조순 <풍고집>, 정약용 <다산화십이십시>

 

여기까지입니다! 정말 시험이 얼마 안 남았네요
다들 열심히 하신만큼 좋은 결과 있으리라 믿고 남은 기간동안 같이 힘차게 달려보아요

조경인들 파이팅!